【 CEO’s Digest 】 Weekly Report _ 2025.08.04 (n.416)

작성일25-08-03 13:07 조회92

본문

■  대·내외 시장 환경 (※ 거시경제·정책·사회·인문환경 중심)

 

   •  경제지표(2025년08월01일 기준)

_ 환율(매매기준율) : USD 1,389원, EUR 1,610원, CNY 193원, JPY(100엔) 942원

_ 증시 : KOSPI 3,119, KOSPI200 420, KOSDAQ 772

DOW 43,588, NASDAQ 20,650, 중국상해 3,559, NIKKEI 40,799

_ 기타 : CD(91일) 2.51%, 국고채(3년) 2.47%, 회사채(3년) 2.97%, BTC 158,701,000원

   ※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5회 연속 4.25~4.50%로 동결.. 일본은행은 4회 연속 0.5%로, 캐나다 중앙은행은 3회 연속 2.75%로 동결

 

   •  주요국들의 미국 상호관세율 현황 (2025년04월02일 대비 07월31일)

_ 한국 25%→15%, 일본 24%→15%, 유럽연합 20%→15%, 베트남 46%→20%, 대만 32%→20%, 인도 26%→25%, 캐나다 25%→35%, 브라질 10%→50% (☞ 매우 선방한 셈)

 

   •  한국거래소는 2025년내에 주식 거래시간을 현행 09:00~15:30에서 08:00~20:00으로 확대 방안 추진

 

   •  지금까지는 아동입양과 관련해서 민간 입양기관이 친부모 상담, 임시 보호, 예비 양부모 심사 및 결연 등을 모두 담당하였으나, 2025년07월19일부터는 정부(보건복지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전담  @「국내입양에관한특별법」개정 및 「국제입양에관한법률」제정

 

   •  우리나라 국민의 순자산 규모는 2022년 2.26경원, 2023년 2.29경원, 2024년 2.41경원 (※ 가구당 순자산은 5억8,916만원, 1인당 순자산은 2억5,251만원)  @한국은행·통계청

 

   •  연령대별 가구주 상위 1% 소득 및 순자산 (2023년 기준)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박승영 250217

_ 30세 미만 상위 1% : 소득 1.93억원, 순자산 17.3억원

_ 30대 상위 1% : 소득 3.56억원, 순자산 48.6억원

_ 40대 상위 1% : 소득 5.32억원, 순자산 53.3억원

_ 50대 상위 1% : 소득 4.76억원, 순자산 48.1억원

_ 60대 상위 1% : 소득 4.34억원, 순자산 60.6억원

 

   •  주요국 국방비 지출 현황 (2024년 기준, 괄호안은 GDP 비중)  @스톡홀름 국제평화문제연구소

_ 미국 9,970억달러(3.4%), 중국 3,140억달러(1.7%), 러시아 1,490억달러(7.1%), 독일 885억달러(1.9%), 인도 861억달러(2.3%), 영국 818억달러(2.3%), 사우디 아라비아 803억달러(7.3%), 프랑스 647억달러(2.1%), 우크라이나 647억달러(34%), 일본 553억달러(1.4%), 한국 476억달러(2.3%), 이스라엘 465억달러(8.8%), 폴란드 380억달러(4.2%)

 

   •  서울 중부경찰서에서 서울 중구 을지로 번화가에 정복 경찰관의 3D 홀로그램을 설치(운영시간 19:00~22:00) 했더니, 범죄율이 22% 감소

 

 

 

■  지역별 주거 시장 동향 (※ 분양가는 평형별 최고가 기준)

 

   •  서울 동대문구 제기동 892-68 일대에서 ‘제기동역 아이파크’ 분양 예정 (시행사는 하나자산신탁, 시공사는 HDC현대산업개발)

_ 지하3층~지상32층, 2개동, 총 351가구.. 일반분양 82가구(전용면적 44·51·59㎡)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44㎡(공급면적 18평) 7억4,980만원~7억7,700만원, 51㎡(21평) 9억660만원, 59㎡(24·25평) 10억8,890만원~11억460만원.. 평당 분양가는 4,094~4,514만원.. 계약금 10%(1차분 1,000~3,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이자 후불제) + 잔금 30%.. 발코니 확장비는 44㎡ 1,170~1,250만원, 51㎡ 1,910만원, 59㎡ 1,980~2,050만원

_ 2025년 8월 6일 1순위 청약.. 2028년 9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1년

_ 서울과 동대문구와 제기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4,447만원, 3,130만원, 2,842만원

 

   •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6가 331-1 일대에서 도시형생활주택 ‘디마크 당산’ 분양 예정 (시행사는 하나자산신탁(위탁사 다옥), 시공사는 롯데건설) / ※ 관리형 토지신탁

_ 부지 806평, 연면적 8,199평, 지하7층~지상25층, 2개동, 총 152가구.. 금번 분양 11가구(전용면적 37·40㎡) + 오피스텔 + 근생시설.. 주차 182대(가구당 1.20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37.33㎡(전용면적 11.29평) 7억6,700만원, 40.35㎡(12.21평) 7억8,300만원, 40.43㎡(12.23평) 7억9,200만원, 40.53㎡(12.26평) 8억원.. 계약금 10% + 중도금 50%(40% 무이자) + 잔금 40%

_ 2025년 8월 11일 ~ 8월 22일 청약.. 청약 신청금은 100만원.. 2025년 9월 입주 예정

 

   •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6가 341-1에서 도시형생활주택 ‘당산역 더클래스 한강’ 분양 예정 (시행사는 당산동6가 신축판매, 시공사는 성안산업개발) / ※ 2023년 12월 사용 승인

_ 부지 366평, 연면적 2,979평, 지하5층~지상12층, 2개동, 총 51가구.. 금번 분양 10가구(전용면적 30·72㎡).. 주차 74대(가구당 1.45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30.00㎡(전용면적 9.08평) 6억3,427만원, 72.45㎡(21.92평) 12억5,000만원.. 계약금 10%(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10% + 잔금 80%

_ 2025년 7월 31일 ~ 8월 5일 청약.. 청약 신청금은 500만원.. 2025년 8월 입주 예정

 

   •  서울지역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사상 처음으로 14억원 돌파(14억572만원)  @KB부동산

 

   •  서울지역 원룸(전용 33㎡ 이하)의 보증금 1,000만원 기준 평균 월세는 67만원 수준 (2025년 6월 기준)  @다방

_ 강남구 92만원, 성동구 90만원, 강서구 79만원.. 강북구 41만원

 

   •  인천 서구 청라동 86-6 일대(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국제도시 B1블록)에서 분양한 오피스텔 ‘청라 피크원 푸르지오’의 청약 결과, 1,056실 모집에 2,518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2.38대1 기록 (시행사는 청라스마트시티, 시공사는 대우건설, 분양대행사 도담에셋) / ※ 관리형 토지신탁

_ 부지 6,378평, 오피스텔 연면적 72,941평, 지하5층~지상49층, 4개동, 전용면적 84·119㎡, 총 1,056실.. 주차 1,690대(실당 1.60대).. 오픈 라이브러리, 사우나, 게스트 하우스, 오픈키친, 파티룸, 계절창고 등 조성.. 조식 서비스도 제공 계획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79㎡(전용면적 25.65평) 7억8,590만원, 84.83㎡(25.66평) 7억5,500만원, 119.92㎡(36.28평) 12억4,060만원, 119.94㎡(36.28평) 12억1,770만원, 119.98㎡(36.29평) 11억8,180만원.. 계약금 5%(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무이자) + 잔금 35%

_ 2025년 7월 22일 청약.. 청약 신청금은 100만원.. 2029년 12월 입주 예정

 

   •  DL이앤씨·계룡건설산업이 경기 광명시 노온사동 일대(광명시흥 S1-10·B-3블록)에서 추진하는 '광명시흥 민간참여 공공주택 건설사업'의 시공사로 선정. 도급 공사비는 8,120억원 

_ 지하2층~지상29층, 19개동, 총 2,716가구

 

   •  경기 군포시 속달동 90-3 일대(군포대야미 공공주택지구 B1블록)에서 ‘대야미역 금강펜테리움 레이크포레’ 분양 예정 (시행 및 시공사는 금강주택)

_ 지하2층~지상27층, 5개동, 총 502가구(공공임대 50가구 포함).. 일반분양 452가구(전용면적 61·63·84㎡).. 주차 703대(채당 1.40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44㎡(공급면적 18평) 7억4,980만원~7억7,700만원, 51㎡(21평) 9억660만원, 59㎡(24·25평) 10억8,890만원~11억460만원.. 평당 분양가는 4,094~4,514만원.. 분양가 상한제.. 계약금 10% + 중도금 60%(이자 후불제) + 잔금 30%

_ 발코니 확장비는 61㎡ 720만원, 63㎡ 580만원, 84㎡ 630~670만원

_ 2025년 8월 5일 1순위 청약.. 2028년 5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3년

_ 경기와 군포시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793만원, 1,731만원

 

   •  경기 양주시 덕계동 152 일대(舊서울우유 공장)에서 ‘지웰 엘리움 양주 덕계역’ 분양 예정 (시행사는 신영PFV3호, 시공사는 대방산업개발)

_ 부지 16,816평(2020년말 1,088억원에 매입), 지하4층~지상39층, 10개동, 공동주택 1,595가구(전용면적 49~122㎡) + 지식산업센터(?) + 근린생활시설.. 본PF 2,800억원

   ※ 신영PFV3호 주요 주주 : 신영 60%, 대농 25%, 신영씨앤디 10%, NH투자증권? 5%

 

   •  현대엔지니어링은 경기 용인시 처인구 삼가동 447-15 일대에서 기업형 민간임대(8년) '힐스테이트 용인포레' 공급 예정

_ 지하5층~지상38층, 13개동, 전용면적 59·84㎡, 총 1,950가구.. 임대료는 2년간 5% 이내 인상 제한

 

   •  강원 삼척시 교동 205-6 일대에서 분양한 ‘트리븐 삼척’의 1순위 청약 결과, 398가구 모집에 263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0.66대1 기록 / 2순위까지 403건이 청약되어 최종 1.01대1 기록 (시행사는 대한토지신탁, 시공사는 두산에너빌리티)

_ 부지 8,734평, 연면적 17,622평, 지하1층~지상29층, 4개동, 전용면적 84·99㎡, 총 418가구.. 주차는 가구당 2대.. 클라이밍존 조성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4평) 4억9,830만원, 99㎡(40평) 5억8,500만원.. 평당 분양가는 1,458~1,460만원.. 계약금 5% + 중도금 60%(이자 후불제) + 잔금 35%

_ 발코니 확장비는 84㎡ 1,705만원, 99㎡ 2,970만원

_ 2025년 7월 29일 1순위 청약.. 2028년 8월 입주 예정

 

   •  강원 춘천시 동면 만천리 811-21 일대에서 ‘춘천 동문 디 이스트 어반포레’ 분양 예정 (시행사는 우리자산신탁(위탁사는 씨앤위), 시공사는 동문건설)

_ 부지 7,773평, 연면적 30,205평, 용적률 249.36%, 건폐율 23.49%, 지하4층~지상29층, 6개동, 전용면적 59·84㎡, 총 569가구.. 주차 855대(채당 1.50대).. 스카이 카페, 게스트 하우스, 키즈 카페 등 조성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5평) 3억9,470만원, 84㎡(34·35평) 5억4,290만원~5억6,600만원.. 평당 분양가는 1,585~1,650만원.. 계약금 10%(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이자 후불제) + 잔금 35%.. 발코니 확장비 무상

_ 2025년 8월 5일 1순위 청약.. 2028년 10월 입주 예정

_ 강원과 춘천시와 동면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738만원, 911만원, 830만원

 

   •  충북 청주시 서원구 사직동 247-1 일대에서 ‘청주 센텀 푸르지오 자이’ 분양 예정 (시행사는 사직1구역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시공사는 대우건설·GS건설)

_ 지하2층~지상29층, 22개동, 총 2,271가구.. 일반분양 1,538가구(전용면적 59·84·99·114· 145㎡).. 실내체육관, 사우나, 스카이라운지 등 조성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4평) 3억3,080만원~3억4,520만원, 84㎡(33평) 4억7,790만원~4억9,680만원, 99㎡(39평) 5억7,450만원~5억9,520만원, 114㎡(45평) 6억3,360만원~6억7,800만원, 145㎡(58평) 12억9,220만원~12억9,240만원.. 평당 분양가는 1,382~2,245만원.. 계약금 10%(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이자후불제) + 잔금 35%

_ 발코니 확장비는 59㎡ 1,247~1,386만원, 84㎡ 1,859~1,925만원, 99㎡ 2,189~2,244만원, 114㎡ 2,420~2,552만원, 145㎡ 3,190만원

_ 2025년 8월 5일 1순위 청약.. 2028년 12월 입주 예정

_ 충북과 청주시와 서원구와 사직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754만원, 838만원, 716만원, 837만원

 

   •  대전 중구 선화동 83-1에서 ‘선화동 참좋은아파트 우선분양전환 후 잔여세대(2차)’ 분양 예정 (시행사는 동건종합건설, 시공사는 알디엠산업개발)

_ 지하3층~지상15층, 1개동, 총 295가구.. 잔여세대 2가구(전용면적 84㎡)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3평) 1억6,594만원.. 평당 분양가는 498만원.. 계약금 10% + 잔금 90%

_ 2025년 8월 4일 1순위 청약.. 2027년 1월 입주 예정

_ 대전과 중구와 선화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156만원, 994만원, 1,121만원

 

   •  경북도청은 경북 안동시 풍천면 갈전리 1155 일대(경북도청신도시 2단계 특화주거용지)에 '경북 K-과학자 마을(40여채)' 조성

_ 입주민들에게는 보증금 및 월세 무료, 매년 4,000만원씩 연구비 지원 / ※ 2년마다 연장 여부 갱신

 

   •  부산 동구 초량동 648-13에서 분양한 주상복합 ‘북항 월드메르디앙 그랑블루’의 1순위 청약 결과, 67가구 모집에 18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0.27대1 기록 / 2순위까지 26건이 청약되어 최종 0.39대1 기록 (시행사는 코람코자산신탁(위탁사는 베스안하우스), 시공사는 마조아종합건설)

_ 부지 549평, 연면적 5,927평, 전용률 979.72%, 건폐율 65.52%, 지하2층~지상27층, 2개동, 전용면적 70·96·142㎡, 총 68가구.. 주차 158대(기계식 140대) + 오피스텔 13실, 근생시설 47개 점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70㎡(공급면적 32평) 4억9,790만원~5억710만원, 96㎡(44평) 6억6,370만원, 142㎡(64평) 10억500만원.. 평당 분양가는 1,513~1,567만원.. 계약금 10% + 잔금 90%

_ 2025년 7월 29일 1순위 청약.. 2025년 8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6개월

_ 부산과 동구와 초량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226만원, 1,183만원, 1,314만원

 

   •  부산 부산진구 가야동 3-11 일대(가야역 인접)에서 분양한 주상복합 ‘가야역 롯데캐슬 스카이엘’의 1순위 청약 결과, 691가구 모집에 186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0.27대1 기록 / 2순위까지 288건이 청약되어 최종 0.42대1 기록 (시행사는 신한자산신탁(위탁사는 K리츠), 시공사는 롯데건설)

_ 부지 3,059평, 연면적 37,360평, 용적률 894.04%, 건폐율 42.33%, 지하4층~지상43층, 4개동, 전용면적 59·77·84㎡, 총 725가구 + 오피스텔(전용면적 52·69㎡) 80실 + 상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5평) 6억5,920만원~6억6,060만원, 77㎡(32평) 8억4,280만원, 84㎡(35평) 9억2,420만원~9억2,800만원.. 평당 분양가는 2,587~2,639만원.. 계약금 5%(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15%(무이자) + 잔금 80%.. 발코니 확장비 무상

_ 2025년 7월 29일 1순위 청약.. 2026년 1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6개월

_ 부산과 부산진구와 가야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226만원, 1,082만원, 1,084만원

 

   •  부산 수영구 남천동 545-2 일대에서 ‘써밋 리미티드 남천’ 분양 예정 (시행사는 큐브광안PFV·대우건설·에스씨건설, 시공사는 대우건설)

_ 지하5층~지상40층, 5개동, 전용면적 84~243㎡, 총 835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4평) 15억5,240만원~16억2,380만원, 112㎡(44평) 21억9,540만원~22억1,850만원, 122㎡(48평) 23억9,400만원, 142㎡(55평) 29억9,360만원, 144㎡(57평) 33억430만원, 177㎡(69평) 40억9,580만원, 182㎡(71평) 42억3,820만원~43억7,550만원, 227㎡(90평) 94억5,430만원, 243㎡(97·98평) 107억1,410만원~115억830만원.. 평당 분양가는 4,524~1억1,842만원.. 계약금 5% + 중도금 60%(무이자) + 잔금 35%.. 발코니 확장비는 84㎡ 2,000만원, 112㎡ 2,600만원, 122㎡ 2,800만원, 142㎡ 3,300만원, 144㎡ 3,300만원, 177㎡ 4,100만원, 182㎡ 4,200만원, 227㎡ 5,300만원, 243㎡ 5,700만원

_ 2025년 8월 12일 1순위 청약.. 2029년 7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6개월

_ 부산과 수영구와 남천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226만원, 2,072만원, 2,982만원

   ※ 큐브광안PFV 지분율 : 큐브프라퍼티(큐브리얼티인베스트?) 40%, 대우건설 30%, NH투자증권 10%, 삼성증권 10%, SK증권 10% 

 

   •  경남 김해시 삼계동 397-1 일대에서 ‘김해 삼계 동일스위트’ 분양 예정 (시행 및 시공사는 동일)

_ 제2종 일반주거지역 4,284평, 연면적 15,553평, 지하3층~지상24층, 4개동, 전용면적 54~96㎡, 총 299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4㎡(공급면적 23평) 3억2,500만원, 59㎡(25평) 3억5,400만원, 62㎡(26평) 3억7,100만원, 66㎡(28평) 4억4,100만원~4억5,000만원, 74㎡(31평) 4억3,500만원, 84㎡(35평) 4억9,000만원~4억9,500만원, 85㎡(36평) 5억7,400만원, 96㎡(40평) 6억3,800만.. 평당 분양가는 1,419~1,601만원.. 계약금 10%(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잔금 90%.. 발코니 확장비 무상

_ 2025년 8월 12일 1순위 청약.. 2026년 1월 입주 예정

_ 경남과 김해시와 삼계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784만원, 710만원, 744만원

 

   •  경남 창원시 진해구 자은동 723 일대에서 ‘트리븐 창원’ 분양 예정 (시행사는 한국투자부동산신탁(위탁사는 진화개발), 시공사는 두산에너빌리티)

_ 부지 6,310평, 연면적 23,263평, 용적률 247.21%, 건폐율 16.75%, 지하3층~지상27층, 6개동, 전용면적 84·107㎡, 총 434가구.. 주차 651대(채당 1.50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4평) 5억640만원, 107㎡(43평) 6억9,880만원~7억1,900만원.. 평당 분양가는 1,486~1,675만원.. 계약금 5%(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이자 후불제) + 잔금 35%..

_ 발코니 확장비는 84㎡ 1,950만원, 107㎡ 2,820~3,060만원

_ 2025년 8월 5일 1순위 청약.. 2028년 8월 입주 예정

_ 경남과 창원시와 진해구와 자은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784만원, 968만원, 724만원, 845만원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평화동2가 409-10 일대에서 ‘전주 라온프라이빗 퍼스티브’ 분양 예정 (시행사는 코리아신탁(위탁사는 은성종합개발), 시공사는 라온건설) / ※ 관리형 토지신탁

_ 부지 7,197평, 연면적 26,172평, 지하3층~지상29층, 7개동, 전용면적 84㎡ 단일평형, 총 507가구.. 주차 743대(채당 1.47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4평) 4억8,250만원~4억8,900만원.. 평당 분양가는 1,409~1,428만원.. 계약금 10%(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이자 후불제) + 잔금 30%.. 발코니 확장비는 84㎡ 2,650만원

_ 2025년 8월 5일 1순위 청약.. 2028년 3월 입주 예정

_ 전북과 전주시와 완산구와 평화동2가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686만원, 871만원, 832만원, 700만원

 

   •  전북 정읍시 상동 90-5 일대에서 ‘정읍 상동 예다음2차’ 분양 예정 (시행사는 와이엠개발, 시공사는 와이엠건영)

_ 부지 3,700평, 용적률 215.81%, 건폐율 26.96%, 지하2층~지상27층, 4개동, 전용면적 84~150㎡, 총 221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4평) 4억3,700만원, 104㎡(41평) 4억8,100만원, 112㎡(44평) 4억8,100만원, 126㎡(50평) 4억5,700만원, 150㎡(59평) 5억4,500만원.. 평당 분양가는 914~1,295만원.. 계약금 10%(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무이자) + 잔금 30%.. 발코니 확장비는 전평형 1,500만원

_ 2025년 8월 5일 1순위 청약.. 2028년 11월 입주 예정

_ 전북과 정읍시와 상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686만원, 565만원, 654만원

 

   •  광주 동구 산수동 산67-23 일대에서 분양한 ‘무등산 경남아너스빌 디원’의 1순위 청약 결과, 291가구 모집에 15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0.05대1 기록 / 2순위까지 79건이 청약되어 최종 0.27대1 기록 (시행 및 시공사는 SM스틸 건설부문)

_ 지하2층~지상20층, 5개동, 전용면적 84㎡ 단일평형, 총 293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4평) 4억3,700만원, 104㎡(41평) 4억8,100만원, 112㎡(44평) 4억8,100만원, 126㎡(50평) 4억5,700만원, 150㎡(59평) 5억4,500만원.. 평당 분양가는 914~1,295만원.. 계약금 5%(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무이자) + 잔금 35%.. 발코니 확장비는 84㎡ 3,900만원

_ 2025년 7월 29일 1순위 청약.. 2028년 4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6개월

_ 광주와 동구와 산수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906만원, 1,091만원, 866만원

 

   •  전남 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2003 일대(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신대배후단지 B-6블록)에서 분양한 ‘중흥S-클래스5단지 (우선분양전환후 잔여세대)’의 1순위 청약 결과, 25가구 모집에 91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3.64대1 기록 (시행사는 중흥주택, 시공사는 중흥건설·중흥토건)

_ 지하2층~지상30층, 1개동, 총 118가구.. 외국인 전용 임대 잔여세대 15가구(전용면적 59㎡)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4평) 4억3,700만원, 104㎡(41평) 4억8,100만원, 112㎡(44평) 4억8,100만원, 126㎡(50평) 4억5,700만원, 150㎡(59평) 5억4,500만원.. 평당 분양가는 914~1,295만원.. 계약금 10% + 잔금 90%

_ 2025년 8월 1일 1순위 청약.. 2025년 8월 입주 예정

_ 전남과 순천시와 해룡면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610만원, 691만원, 940만원

 

 

 

■  비주거 시장 및 업계 동향

 

   •  인천시청은 인천 미추홀구 학익동 587-53 일대(시티오씨엘 단지를 개발하는 디씨알이가 기부채납한 부지)에 미술관, 박물관, 예술공원, 갤러리 등이 어우러진 복합문화공간 '인천뮤지엄파크' 조성 계획 (※ 전국 7개 특별·광역시 중 시립미술관이 없는 유일한 곳)

_ 부지 12,454평, 연면적 11,764평.. 사업비 2,416억원.. 2025년말 착공 및 2028년12월 개관 목표

 

   •  경기 고양시청은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일대에 콘텐츠 창작부터 전시·체험·유통·사업화까지 全 과정을 지원하는 'IP 융복합 콘텐츠 클러스터(지상4층 규모)'를 2027년 개관 목표로 추진 계획 (※ 문화체육관광부 공모 사업의 일환)

 

   •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평가대상 총 87,131개사 중 73,657개사)  @국토교통부

_ 01~10위 : ① 삼성물산 34.72조원, ② 현대건설 17.24조원, ③ 대우건설 11.89조원, ④ DL이앤씨 11.21조원, ⑤ GS건설 10.94조원, ⑥ 현대엔지니어링 10.14조원, ⑦ 포스코이앤씨 9.89조원, ⑧ 롯데건설 7.40조원, ⑨ SK에코플랜트 6.84조원, ⑩ HDC현대산업개발 5.87조원

_ 11~20위 : 한화 4.97조원, 호반건설 3.92조원, DL건설 3.54조원, 두산에너빌리티 3.39조원, 계룡건설산업 2.97조원, 서희건설 2.87조원, 제일건설 2.69조원, 코오롱글로벌 2.49조원, 태영건설 2.32조원, KCC건설 2.31조원

_ 21~30위 : 우미건설 2.24조원, 대방건설 2.17조원, 쌍용건설 2.16조원, 금호건설 2.02조원, 두산건설 1.84조원, 한신공영 1.80조원, 효성중공업 1.78조원, HL D&I 한라 1.61조원, 반도건설 1.50조원

   ※ 시공능력평가액이 100만원 이상인 곳은 총 2,880개사

 

 

 

■  레저·관광 시장 동향

 

   •  서울 성동구 행당동 293-11 일대(민영주차장 부지)에 관광숙박시설 신축 전망

_ 연면적 20,069평, 지하8층~지상28층, 객실수 253실.. 지하2층에 공영주차장(81면), 지상2층에 공공 전시시설(155평) 조성 계획

 

   •  강원 강릉시 송정동 259 일대에 호텔 '신라모노그램 강릉'이 2025년07월31일 개관

_ 호텔 315실(5층 전체 객실은 키즈객실), 레지던스 602실.. 럭셔리 스파시설 '스파 파빌리온', '실내외 수영장' 등 조성

 

   •  株대천리조트는 충남 보령시 남포면 창동리 산25-1 일대 291,669평 부지에, 사업비 514억원을 투입하여, 자연·문화·레저가 어우러진 가족형 체류관광단지 '대천리조트 관광단지' 개발 계획

_ 기존 9홀 골프장을 18홀로 확장.. 단지 내 산림 공간을 활용한 어린이 특화 가족 체험공간, 공연장·영화관·문화공간 등 조성 등

 

   •  경북 영덕군청은 경북 영덕군 해안선 일대에, 사업비 150억원을 투입하여, 해안 둘레길 '영덕 블루로드 테마로드(총 66.5km)'를 2026년까지 확장 예정

 

   •  2025년 상반기 인천공항 이용객은 3,636만명으로 역대 최다 기록.. 일본·중국 등 단거리 여객 증가.. 일본은 9.3% 증가(934만명), 중국 24.3% 증가(575만명)  @인천국제공항공사

 

   •  방한 외국인수 추이  @한국관광공사

_ 2019년 1,750만명, 2020년 251만명, 2021년 96만명, 2022년 319만명, 2023년 1,103만명, 2024년 1,636만명, 2025년(E) 2,000만명

   ※ 1인당 평균 지출액 : 2024년 137.2만원, 2025년 146.2만원  @현대경제연구원

 

   •  LIV골프는 2025년 올해 대회당 개인전 총 상금 2,000만달러, 단체전 500만달러를 시상 계획

 

   •  미래디에스엔그룹(2014년 설립)은 태국 칸차나부리에서 골프(기존 36에 더해 27홀 신축)와 파크골프, 골프 리조트(120실), 태국 정통웰니스, 수상레저, 문화투어가 결합된 복합 리조트 ‘크루지아나 골프&리조트’ 신축 계획

_ 홍보대사로 조영구氏 활용.. 웰니스 프로그램으로는 요가, 명상, 스트레칭, 전통마사지, 허브스파, 역사유적지 탐방 등으로 구성

 

   •  골프 경비

_ 일본 삿포로 SG 다이너스티 기타히로시마(27홀) : 2025년06월29일~08월31일중, 88만원, 그린피·카트비·숙박비(3박)·송영서비스 @SG골프

_ 태국 가싼쿤탄(27홀) : 2025년06월29일~08월31일중, 59만원/일, 그린피·조중석식·숙박비(2인1실)

 

 

 

■  신수종 산업 동향

 

   •  국정기획위원회는 한국산업은행 산하에 50조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조성하여, AI 등 첨단산업 인프라 스트럭처, 반도체 설비 직접 투자, 바이오 등 ‘초장기(超長期) 기술투자펀드’에 지원 예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1.46조원 규모 AI GPU 클라우드 사업자로 네이버클라우드, 카카오, NHN클라우드, 이상 3개사 선정

 

   •  더블유티씨서울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 트레이드타워, 코엑스, 아셈타워에 국내 최대 규모의 ‘단일 수열에너지 인프라(연면적 219,010평)’ 조성 계획

_ 계절별 수온 차이를 이용한 냉난방 에너지로, 온실가스 약 2,400톤 감축 전망 (※ 연간 약 10억원의 경제적 효과 기대)

 

   •  강동그린에너지(ESD홀딩스 계열)는 사업비 8,200억원을 투입하여,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 일대 강동일반산업단지 내에, 국내 최대 규모(약 107.9MW)의 '수소연료전지 발전'을 2025년말 착공 및 2028년 9월 준공 목표

_  지역활성화 투자펀드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특례 대출보증 지원.. 시공은 SK에코플랜트, 설비는 SK블룸에너지 예정

 

   •  경북 구미시청은 2025년 9월부터 지역 도서관과 과학관 등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안내 로봇 실증사업 추진 방침

 

   •  정부는 2026년 예산 중 2,000억원 가량을 확보하여, 전남 광양 철강산단, 여수 석유화학산단 등 전남지역에 5~6개의 차세대 전력망 사업을 시범 운영 계획 (☞ 현재의 일방향(발전→송전→배전) 전력망을 양방향으로 전환하는 사업)

 

   •  카이에너지그룹은 전남 신안군 자은면 안좌도의 태양광 발전소(자은주민바람발전소)에서 나온 수익을 주민들에게 신재생에너지 배당금(지역상품권)으로 지급중

_ 햇빛배당 사업모델 : 지역주민이 출자 → 전문운용사가 '햇빛펀드' 관리 → 신재생 발전소에서 한국전력 또는 기업에 전력 판매 → 수익이 창출되면 지역주민들에게 정기 배당, 마을 에너지 복지, 차기 프로젝트 유보금 등으로 활용 (☞ 인구소멸지역의 대안정책이 될수도..)

 

   •  OTSM(OCI홀딩스과 일본 도쿠야마 합작사)는 사업비 6,000억원을 투입하여, 동남아시아 최초의 반도체용 폴리실리콘을 말레이시아 사라왁주 사말라주 산업단지에서 생산 계획.. 2025년 착공 및 2029년 준공 목표

_ 폴리실리콘 : 반도체 웨이퍼 및 태양전지 제조에 쓰이는 소재로서, 제조원가의 약 40%가 전기요금

   ※ 말레이시아는 全 세계 반도체 후공정 시장의 13% 이상을 점유하는 세계 6위의 반도체 수출국

 

   •  한국전력거래소(KPX ; Korea Power Exchange)의 ‘2025년 제1차 에너지저장장치(ESS) 중앙계약시장 경쟁입찰’에서 BS한양, 한국남부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컨소시엄이 각각 8개 프로젝트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_ BS한양·한국남부발전 : 전남 광양시 황금산단(부지 4,147평)과 고흥군(부지 5,442평)에 각각 96㎿, 총 192㎿ 규모의 ESS 설치 및 운영.. 2026년초 착공 및 2016년말 준공

_ 브라이트에너지파트너스·한국남부발전 : 전남 진도에 48㎿ 규모의 ESS 설치 및 운영

_ SK인터넥스 : 제주(해상) ESS 설치

   ※ 한국전력거래소 : 2001년 4월에 설립된 산업통상부 산하 준정부기관.. 본사는 전남 나주시, 2024년 기준 직원수 526명, 예산 1,231억원

 

   •  지역별 전력 자립도 (2024년 기준)

_ 서울 11.6%, 경기 62%, 전남 213%, 경북 228% (※ 생산만 되고 버려지는 전력은 8.9GW(원자로 9기 규모) 수준)

 

   •  한국전력의 평균 전력 구입 단가(2024년 기준)는 1kWh당 134.8원.. 생산단가의 경우 태양광은 200원대, 해상풍력은 400원대 (☞ 아직은 경제성 취약)

_ 한국전력이 지급하는 연료별 전력 가격(2025년 5월 기준) : 원자력 80.0원, 풍력 123.6원, 태양광 130.5원, 수력 134.6원  @전력통계정보시스템

 

   •  가구당 월평균 전기소비량(389kWh)의 전력을 생산하려면, 약 100㎡ 면적의 태양광 패널 필요  @서강대 이덕환 명예교수

 

   •  우리나라 가정용 전기료는 OECD 38개국 중 35위 수준 (2023년 기준)  @문화일보

_ OECD 평균 ㎿h당 205.7달러.. 영국 446.2달러, 독일 440.3달러, 일본 263.1달러, 미국 159.8달러, 한국 130.4달러

 

   •  SK온은 2025년10월말까지 모든 임원의 업무용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 방침

 

   •  오픈AI는 차세대 AI 'GPT-5' 출시 계획

 

   •  구글은 인도 안드라프라데시주 비사카파트남에 60억 달러를 투입하여, 1GW 규모의 데이터센터 건설 계획.. 이 중 20억 달러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배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