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O's Digest 】 Weekly Report _ 2019.09.09 (n.112)
본문
■ 지역별 부동산 동향
○ 서울 은평구 응암동 36 일대에서 분양한 '녹번역 e편한세상 캐슬 2차(응암제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의 1순위 청약 결과, 70가구 모집에 총 5,280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75.43대1 기록 (시행사는 응암2재개발정비조합, 시공사는 대림산업(주))
_ 전용면적 44·59㎡, 118가구(일반공급 70가구 + 특별공급 48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44㎡(공급면적 20평) 4억7,810만원, 59㎡(25평) 6억5,160만원~6억5,89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2,387~2,595만원.. 9월 3일 1순위 청약.. 2020년 5월 입주 예정..
_ 서울과 은평구와 응암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2,591만원, 1,788만원, 1,707만원..
○ 서울 서대문구 홍제동 57-5 일대에서 분양한 '서대문 푸르지오 센트럴파크'의 1순위 청약 결과, 182가구 모집에 총 7,922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43.53대1 기록 (시행사는 홍제동제1재건축조합, 시공사는 (주)대우건설)
_ 지하4층~지상18층, 1개동, 전용면적 34~114㎡, 총 832가구(일반분양 320가구(일반공급 182가구 + 특별공급 138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49㎡(공급면적 20평) 5억1,020만원, 55㎡(22평) 5억6,870만원, 59㎡(24~25평) 6억8,750만원~6억9,270만원, 75㎡(30~31평) 7억1,830만원~8억1,50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2,323~2,761만원.. 9월 5일 1순위 청약.. 2020년 10월 입주 예정..
_ 서울과 서대문구와 홍제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2,591만원, 2,143만원, 1,946만원..
○ 서울 송파구 거여동 181 일대에서 분양한 '송파 시그니처 롯데캐슬'의 1순위 청약 결과, 429가구 모집에 총 23,565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54.93대1 기록 (시행사는 거여2-1재개발조합, 시공사는 롯데건설(주))
_ 지하3층~지상33층, 17개동, 전용면적 59·84·108㎡, 총 1,945가구(일반분양 745가구(일반공급 429가구 + 특별공급 316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5평) 5억6,300만원~5억6,500만원, 84㎡(33평) 8억8,400만원~8억9,500만원, 108㎡(41평) 10억9,00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2,177~2,667만원.. 중도금 이자후불제.. 9월 5일 1순위 청약.. 2022년 1월 입주 예정.. 주방가구는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인 ‘페발까사(Febalcasa)’ 적용
_ 서울과 송파구와 거여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2,591만원, 3,640만원, 2,234만원..
○ 서울 강동구 고덕동, 강일동 일대(고덕강일공공주택지구 4블록)에서 국민주택 '고덕강일 공공주택지구 4단지' 분양 예정 (시행사는 SH공사, 시공사는 두산건설(주))
_ 전용면적 49·59㎡, 642가구(일반공급 122가구 + 특별공급 520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49㎡(공급면적 22평) 4억507만원, 59㎡(26평) 4억8,775만원..
_ 평당 분양가는 1,823~1,835만원.. 9월 9일 1순위 청약.. 2020년 8월 입주 예정..
_ 서울과 강동구와 고덕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2,591만원, 2,369만원, 2,859만원..
○ 인천 중구 선린동 56-1에서 오피스텔 '인천역 코아루센트럴시티' 분양 예정 (시행사는 (주)한국토지신탁)
_ 전용면적 21~31㎡, 총 547실..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21.53㎡(6.51평) 1억3,160만원~1억3,310만원, 30.95㎡(9.36평) 1억7,170만원, 31.04㎡(9.39평) 1억6,690만원..
_ 9월 9일 청약(청약신청금 1,000만원).. 2022년 3월 입주 예정..
○ 인천 연수구 송도동 92(E5블록)에서 분양한 '송도 더샵 센트럴파크 3차'의 1순위 청약 결과, 258가구 모집에 총 53,181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206.13대1 기록 (시행사는 송도국제도시개발(유), 시공사는 (주)포스코건설)
_ 전용면적 80·102·110·119·170·171·193·198㎡, 351가구(일반공급 258가구 + 특별공급 93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0㎡(공급면적 33평) 5억7,950만원, 102㎡(42평) 7억9,000만원, 110㎡(46평) 9억1,750만원, 119㎡(49평) 10억3,750만원~10억3,850만원, 170㎡(71평) 17억900만원, 171㎡(72평) 17억3,600만원, 193㎡(81평) 19억6,800만원, 198㎡(83평) 20억1,90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1,719~2,414만원.. 9월 4일 1순위 청약.. 2023년 1월 입주 예정..
_ 인천과 연수구와 송도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884만원, 1,033만원, 1,383만원..
○ 인천 연수구 송도동 109 일대(F20-1블록)에서 분양한 '송도 더샵 프라임뷰 F20블록'의 1순위 청약 결과, 398가구 모집에 총 45,916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115.37대1 기록 (시행사는 송도국제도시개발(유), 시공사는 (주)포스코건설)
_ 전용면적 70·84·107·114㎡, 일반분양 662가구(일반공급 398가구 + 특별공급 264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70㎡(공급면적 29평) 5억550만원, 84㎡(34~35평) 5억8,400만원~5억9,300만원, 107㎡(42~43평) 8억3,500만원, 114㎡(45평) 8억6,80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1,657~1,948만원.. 9월 4일 1순위 청약.. 2023년 1월 입주 예정..
_ 인천과 연수구와 송도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884만원, 1,033만원, 1,383만원..
○ 인천 연수구 송도동 114 일대(F25-1블록)에서 분양한 '송도 더샵 프라임뷰 F25블록'의 1순위 청약 결과, 133가구 모집에 총 13,893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104.46대1 기록 (시행사는 송도국제도시개발(유), 시공사는 (주)포스코건설)
_ 전용면적 107·121·144·195㎡, 164가구(일반공급 133가구 + 특별공급 31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107㎡(공급면적 41평) 8억2,700만원, 121㎡(46평) 8억9,000만원, 144㎡(53평) 12억700만원~12억1,700만원, 195㎡(73평) 21억8,00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1,657~1,948만원.. 9월 4일 1순위 청약.. 2022년 8월 입주 예정..
_ 인천과 연수구와 송도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884만원, 1,033만원, 1,383만원..
○ 경기 파주시 운정3지구 A-27블록(동패동)에서 분양한 'e편한세상 운정 어반프라임'의 1순위 청약 결과, 889가구 모집에 총 1,356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1.53대1 기록 (시행사는 김포마송파주운정3, 시공사는 대림산업(주))
_ 지하1층~지상20층, 15개동, 전용면적 59·74·84㎡, 1,009가구(일반공급 590가구 + 특별공급 419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4평) 2억8,060만원~3억960만원, 84㎡(34~35평) 3억8,900만원~6억25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1,150~1,726만원.. 9월 5일 1순위 청약.. 2021년 7월 입주 예정..
_ 경기와 파주시와 동패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099만원, 754만원, 802만원..
○ 경기 고양시 덕양구 덕은지구 A5블록에서 분양한 '고양덕은지구 A5 대방노블랜드' 이주대책용 주택잔여분의 1순위 청약 결과, 18가구 모집에 총 504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28.0대1 기록 (시행사는 대방덕은(주), 시공사는 대방건설(주))
_ 전용면적 84·116㎡, 40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3평) 6억1,140만원~6억4,050만원, 116㎡(42평) 7억6,84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1,826~1,936만원.. 9월 3일 1순위 청약.. 2022년 7월 입주 예정..
_ 기존 1순위(7월31일 접수) 청약률은 346가구 모집에 총 2,166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6.26대1 기록
_ 경기와 고양시덕양구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099만원, 1,103만원..
○ 경기 남양주시 평내동 103-2에서 분양한 'e편한세상 평내'의 1순위 청약 결과, 168가구 모집에 총 462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2.75대1 기록 (시행사는 평내2구역재건축조합, 시공사는 (주)삼호)
_ 지하3층~지상27층, 15개동, 전용면적 53·59·84㎡, 총 1,108가구(일반분양 247가구(일반공급 142가구 + 특별공급 105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3㎡(공급면적 22평) 2억9,070만원, 59㎡(24평) 3억1,850만원~3억2,360만원, 84㎡(32평) 4억350만원~4억900만원.. 평당 분양가는 1,227~1,314만원.. 중도금 60% 무이자.. 9월 4일 1순위 청약.. 2022년 6월 입주 예정..
_ 경기와 남양주시와 평내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099만원, 816만원, 744만원..
○ 경기 부천시 범박동 39 일대에서 분양한 '부천 일루미스테이트'의 1순위 청약 결과, 1,647가구 모집에 총 10,375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6.30대1 기록 (시행사는 계수범박재개발조합, 시공사는 현대건설(주))
_ 지하4층~지상29층, 37개동, 전용면적 39·59·74·84㎡, 총 3,724가구(일반분양 2,508가구(일반공급 1,443가구 + 특별공급 1,065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39㎡(공급면적 16평) 2억6,600만원, 59㎡(25평) 4억1,800만원~4억3,000만원, 74㎡(30평) 4억7,110만원, 84㎡(33평) 5억3,130만원~5억4,220만원.. 평당 분양가는 1,568~1,720만원..
_ 9월 3일 1순위 청약.. 계약후 6개월뒤 분양권 전매 가능.. 2023년 2월 입주 예정..
_ 경기와 부천시와 범박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099만원, 1,188만원, 1,208만원..
○ 경기 시흥시 정왕대로28번길 29 (정왕동)에서 분양한 국민주택 '시흥시 동남아파트' 잔여분의 1순위 청약 결과, 60가구 모집에 총 16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0.27대1 기록 (시행 및 시공사는 동남주택산업(주))
_ 전용면적 46·59㎡, 61가구(일반공급 35가구 + 특별공급 26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46㎡(공급면적 17평) 1억8,270만원, 59㎡(23평) 2억1,30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919~1,039만원.. 9월 3일 1순위 청약.. 2019년 12월 입주 예정..
_ 경기와 시흥시와 동패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099만원, 845만원, 851만원..
○ 경기 광명시 철산동 233 일대에서 분양한 '철산역 롯데캐슬앤SK뷰(광명철산주공7단지 재건축정비사업)'의 1순위 청약 결과, 417가구 모집에 총 3,384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8.12대1 기록 (시행사는 광명철산주공7재건축, 시공사는 롯데건설(주))
_ 지하3층~지상36층, 13개동, 전용면적 59·70·84㎡, 총 1,313가구(일반분양 708가구(일반공급 417가구 + 특별공급 291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5평) 5억8,700만원~5억8,800만원, 70㎡(28평) 6억5,800만원, 84㎡(34평) 7억6,20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2,218~2,349만원.. 9월 3일 1순위 청약.. 2022년 3월 입주 예정..
_ 경기와 광명시와 철산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099만원, 1,765만원, 2,147만원..
○ 강원 양구군 양구읍 박수근로313번길 17에서 '양구 석미 모닝파크1차' 분양 예정 (시행사는 정기산업(주), 시공사는 석미건설(주))
_ 전용면적 68·77·84㎡, 166가구(일반공급 61가구 + 특별공급 105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68㎡(공급면적 27평) 1억5,900만원, 77㎡(30평) 1억8,900만원, 84㎡(33평) 1억9,90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587~622만원.. 9월 10일 1순위 청약.. 2019년 12월 입주 예정..
○ 대전 유성구 봉산동 777 일대에서 '유성 대광 로제비앙' 분양 예정 (시행사는 (주)디케이플러스, 시공사는 (주)대광건영)
_ 전용면적 84㎡ 단일평형, 816가구(일반공급 468가구 + 특별공급 348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3평) 3억5,380만원~3억5,48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1,045~1,066만원.. 9월 10일 1순위 청약.. 2022년 3월 입주 예정..
_ 대전과 유성구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768만원, 896만원..
○ 충남 천안시 서북구 두정동 28 일대에서 분양한 '포레나 천안 두정'의 1순위 청약 결과, 1,043가구 모집에 총 684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0.66대1 기록 (시행사는 (주)하나자산신탁, 시공사는 (주)한화건설)
_ 지하2층~지상29층, 전용면적 76·84·102㎡, 총 1,067가구(일반공급 178가구 + 특별공급 133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76㎡(공급면적 30평) 2억8,450만원~2억9,210만원, 84㎡(33평) 3억2,080만원~3억2,590만원, 102㎡(40평) 3억8,83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928~969만원.. 9월 4일 1순위 청약.. 2022년 3월 입주 예정..
_ 마이펫 가든, 갤러리 포레나, 공용텃밭, 야외 물놀이장, 게스트하우스 등 조성
_ 충남과 천안시서북구와 두정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525만원, 631만원, 618만원..
○ 충남 아산시 모종동 588-1 일대에서 분양한 '모종 금호어울림 아이퍼스트'의 1순위 청약 결과, 294가구 모집에 총 310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1.05대1 기록 (시행사는 모종1주택정비조합, 시공사는 금호산업(주))
_ 전용면적 59·84㎡, 311가구(일반공급 142가구 + 특별공급 105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5평) 2억950만원~2억1,150만원, 84㎡(34평) 2억8,000만원~2억8,25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814~859만원.. 9월 5일 1순위 청약.. 2022년 2월 입주 예정..
_ 충남과 아산시와 모종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525만원, 503만원, 673만원..
○ 충남 공주시 창벽로 42-31(소학동)에서 '공주 소학동 아이젠' 분양 예정 (시행사는 (주)생보부동산신탁, 시공사는 (주)양지종합건설)
_ 전용면적 58·84·118㎡, 65가구(일반공급 56가구 + 특별공급 9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8㎡(공급면적 24평) 2억1,243만원, 84㎡(34평) 2억8,845만원, 118㎡(43평) 3억6,382만원..
_ 평당 분양가는 838~880만원.. 9월 10일 1순위 청약.. 2019년 10월 입주 예정..
_ 충남과 공주시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525만원, 442만원..
○ 대구 중구 동산동 438 일대에서 '청라언덕역 서한 포레스트' 분양 예정 (시행사는 (주)하나자산신탁, 시공사는 (주)서한)
_ 전용면적 84·99㎡, 302가구(일반공급 190가구 + 특별공급 112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3~34평) 5억2,500만원~5억4,100만원, 99㎡(38평) 6억80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1,545~1,583만원.. 9월 10일 1순위 청약.. 2022년 10월 입주 예정..
_ 대구와 중구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913만원, 1,171만원..
○ 경북 경산시 사동 310(경산사동 2-3블록)에서 '사동 팰리스 부영 1단지' 분양 예정 (시행 및 시공사는 (주)부영주택)
_ 전용면적 66·84㎡, 630가구(일반공급 359가구 + 특별공급 271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66㎡(공급면적 26평) 1억9,300만원, 84㎡(34평) 2억5,20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722~731만원.. 9월 10일 1순위 청약.. 2019년 10월 입주 예정..
_ 경북과 경산시와 사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460만원, 574만원, 453만원..
○ 경북 상주시 무양동 138 일대에서 분양한 '상주 무양 태왕아너스'의 1순위 청약 결과, 124가구 모집에 총 14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0.10대1 기록 (시행사는 무양지역주택조합, 시공사는 (주)태왕E&C)
_ 전용면적 59·84·123㎡, 135가구(일반공급 135가구 + 특별공급 無)..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3평) 2억2,400만원, 84㎡(33평) 3억500만원, 123㎡(49평) 4억5,00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911~940만원.. 9월 3일 1순위 청약.. 2021년 11월 입주 예정..
_ 경북과 상주시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460만원, 438만원..
○ 부산 강서구 대저1동 2388-17에서 '외진가 센트럴타워' 분양 예정 (시행 및 시공사는 외진가건설(주))
_ 전용면적 39·40·44·61·71·86㎡, 65가구(일반공급 35가구 + 특별공급 30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39㎡(공급면적 16평) 1억6,301만원, 40㎡(17평) 1억7,520만원, 44㎡(19평) 1억8,816만원, 61㎡(26평) 2억5,975만원~2억7,113만원, 71㎡(30평) 3억571만원, 86㎡(38평) 3억9,200만원.. 평당 분양가는 973~1,032만원.. 9월 10일 1순위 청약.. 2019년 10월 입주 예정..
_ 부산과 강서구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874만원, 915만원..
○ 부산 수영구 수영로383번가길 12 (남천동) 일대에서 분양한 '남천 더샵 프레스티지'의 1순위 청약 결과, 386가구 모집에 총 14,730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38.16대1 기록 (시행사는 남천2재개발정비조합, 시공사는 (주)포스코건설)
_ 지상35층, 10개동, 전용면적 59·84·92·93·107㎡, 총 975가구(일반분양 613가구(일반공급 385가구 + 특별공급 228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6평) 4억3,510만원, 84㎡(34~35평) 5억5,240만원~5억6,420만원, 92㎡(38평) 6억1,560만원, 93㎡(39평) 6억4,660만원, 107㎡(40~41평) 6억3,640만원~6억6,02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1,531~1,618만원.. 9월 6일 1순위 청약.. 2022년 9월 입주 예정..
_ 왕벚나무 터널, 어린이 물놀이장, 바닥분수, 캠핑가든 등 조성..
_ 부산과 수영구와 남천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874만원, 1,232만원, 1,551만원..
○ 광주 동구 금동 19-3,10에서 오피스텔 '문화전당역 오펠리움' 분양 예정 (시행사는 무궁화신탁)
_ 전용면적 25·50㎡, 총 324실..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25.21㎡(7.63평) 1억3,790만원, 50.96㎡(15.42평) 2억6,950만원..
_ 9월 10일 청약(청약신청금 100만원).. 2021년 12월 입주 예정..
○ 광주 서구 화정동 875 일대에서 '염주 더샵 센트럴파크' 분양 예정 (시행사는 염주주공재건축조합, 시공사는 (주)포스코건설)
_ 지상최고30층, 18개동, 전용면적 59·76·84㎡, 총 1,976가구(일반분양 851가구(일반공급 497가구 + 특별공급 354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3평) 3억5,180만원~3억5,800만원, 76㎡(30평) 4억5,140만원~4억5,810만원, 84㎡(33평) 4억8,680만원~4억9,43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1,448~1,515만원.. 9월 11일 1순위 청약.. 2022년 7월 입주 예정..
_ 광주와 서구와 화정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703만원, 770만원, 699만원..
○ 전남 무안군 삼향읍 남악리 2326 일대에서 분양한 '남악 오투그란데 더 테라스'의 1순위 청약 결과, 142가구 모집에 총 175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1.23대1 기록 (시행 및 시공사는 (주)제일건설)
_ 지하1층~지상4층, 6개동, 전용면적 119·127·128·131㎡, 144가구(일반공급 128가구 + 특별공급 16가구)..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119㎡(공급면적 40평) 5억3,500만원, 127~128㎡(43평) 4억3,000만원~4억6,900만원, 131㎡(45평) 4억7,400만원..
_ 평당 분양가는 986~1,306만원.. 9월 4일 1순위 청약.. 2021년 3월 입주 예정..
_ 남악신도시 최초의 테라스하우스.. 주방가구는 이태리산 수입가구 '아리딸쿠치네' 적용
■ 제도ㆍ정책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시행령 개정안에서, 재개발 사업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상업지역에도 임대주택을 의무적으로 짓도록 하고, 임대주택 의무 건설비율을 현재 15%→30%로 상향하는 내용을 입법 예고
ㅇ 세무사법 개정안에서, 변호사의 세무대리업무를 허용하는 내용이 입법 예고 (2004~2017년 변호사 자격증을 취득한 변호사가 일정한 교육을 이수하면 세무대리 업무 일체를 허용)
■ 건설 및 부동산(리테일 포함) 업계 정보
○ 분양가 상한제 확대 시행 여파로 아파트 공급의 희소성이 예견되자, 수도권 변두리 아파트의 미분양 물량도 빠르게 소진중
○ 서울 송파구 잠실동 187-10(잠실새내역 인근, 잠실성당 우측편) 일대 457평 부지에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예정
_ 서울시는 2019년 올해 하반기에 역세권 청년주택 5개소, 총 2,136가구 입주자 모집 예정
○ 서울 강서구 등촌동 671-1(발산역 인근)에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예정 (2021년 입주)
_ 지하2층~지상14층, 총 252가구(공공임대 53가구 + 민간임대 199가구)
○ 통상 부동산 광고는 메이저 신문 매출의 40% 수준을 점유 (매출 기여도 1위)
○ 국내 뇌물 사건의 55%는 건설 관련 부패.. 대한민국의 부패는 건설에서 시작해 건설로 끝남..
○ 1963년부터 2007년까지 소비자 물가가 43배 상승하는 동안, 서울 땅값은 1,176배, 대도시 땅값은 923배 상승.. 도시근로자 월평균 실질소득은 1965년 240,809원에서 2007년 3,507,091원으로 15배 증가..
○ 자이S&D(GS건설 자회사)는 오피스텔 브랜드 '자이엘라'에 이어, 중소규모 프리미엄 아파트 브랜드인 ‘자이르네(Xi rene)’ 론칭
○ 한화건설의 신용등급이 3년 9개월 만에 BBB+에서 A-로 상향 조정
○ 한국프롭테크포럼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인가를 받아 비영리 사단법인으로 공식 출범 (현재 회원수 113개사)
■ 기타 참조
○ 금주 부동산 광고 캐치 플레이즈 정리
_ 서울 인기만점 초역세권 아파트, 백점만점 프리미엄! 장승배기역 스카이팰리스! 동작의 중심에서 누리는 완벽한 생활과 더 높은 미래!
○ 금주 읽었던 책들중 밑줄친 문장 정리
_ 경영(CEO) : 조직 성과는 우수한 인재 혹은 유능한 리더보다, 그 조직의 규범 그리고 문화와 연관성이 높다.
_ 경영(CEO) : 경영혁신의 핵심은 상품 너머에 있는 '무엇'을 발견하는 것이다. ⓢ굿마이크 표영호 대표(前 MBC 4기 공채 개그맨)
_ 경영(CEO) : 직위에 관계없이 원래 이름에 '님'을 붙이는 호칭 문화도 장점은 있지만 높임말이다 보니 아무래도 거리감이 생기는데, 영어 닉네임을 사용하면 파트너들의 사이가 더욱 가까워지고 격의없는 소통도 더욱 원활해진다. (※ 참고 : CJ와 삼성은 님, SK는 매니저, 제일기획은 프로)
_ 경영(CEO) : 유능한 뱃사공은 바람과 파도를 이용한다. 즉 장애물을 기회로 여긴다. 이와 마찬가지로 유능한 사장은 돈과 사람이 없기 때문에 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낸다. 다르게 생각해서 없던 것을 생각해 낸다.
_ 경영(CEO) : 대부분의 직장인은 자신의 미래에 대해 걱정이 많다. 회사뿐만 아니라 그 누구도 자신의 미래를 보장해주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미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다니고 있는 회사 내에서 발전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빨리 스펙을 쌓아 더 나은 조건의 직장으로 이직하려 하거나 개인 창업을 준비하려고 한다. 자연스럽고 당연한 이야기다. 이런 자신만의 계획이 분명히 있는 직원이라면 그나마 다행이고, 대화할 가치가 충분하다. 그럼 사장으로서 이들을 어떻게 해야 할까?
_ 소양 : 국가 지도자는 CEO에 비해 훨씬 도덕적이고 철학적이며 역사적인 통찰력을 가진 인물이어야 한다. CEO가 하는 일은 기업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서라면 때로는 도덕이나 공익적인 측면을 무시할 수 있어야 하지만, 국가 지도자는 경제를 이유로 공익을 무시하거나 힘없는 국민을 버려서는 안된다.
_ 소양 : 우리는 쉰살이 지나서야 비로소 누구에게나 내려지는 죽음이라는 선고가 자신에게도 적용되다는 사실을 믿게 된다. ⓢMay Sarton
_ 소양 : 정보통신혁명 초기, 언론들은 정보통신혁명으로 노동의 세계에도 장밋빛 미래가 열릴 것으로 예언했다. 짧은 시간에 많은 일을 처리할 수 있게 하고, 심지어 재택근무만 해도 충분히 먹고 살 수 있는 세상의 도래를 노래했다. 그러나 '언제 어디서나 일을 처리할 수 있다'는 편리함은 '언제 어디서나 일을 해야 한다'는 강박으로 변했다. 유비쿼터스 환경이 갖추어지자 회사는 심지어 퇴근 후, 휴일, 휴가 때에도 '급한 일'을 처리해 주길 원하게 되었다. 정보화가 노동 축소가 아니라 과잉 노동과 새로운 노동 착취의 조건이 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