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O’s Digest 】 Weekly Report _ 2025.02.03 (n.391)

작성일25-02-02 08:25 조회123

본문

■  지역별 부동산 동향 (※ 분양가는 평형별 최고가 기준)

 

   •  서울 서초구 방배동 818-14 일대에서 '래미안 원페를라' 분양 예정 (시행사는 방배6구역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 시공사는 삼성물산)

_ 지하4층~지상22층, 16개동, 전용면적 59·84·106·120㎡, 총 1,097가구(일반분양 482가구(일반공급 268가구 + 특별공급 214가구)).. 스카이 게스트 하우스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5평) 17억2,470만원~17억9,650만원, 84㎡(34·35평) 23억5,270만원~24억5,070만원, 106㎡(43평) 28억7,550만원~29억9,780만원, 120㎡(49평) 31억8,400만원.. 평당 분양가는 6,554~7,312만원.. 분양가 상한제.. 계약금 20% + 중도금 60%(이자후불제) + 잔금 20%

_ 발코니 확장비는 59㎡ 1,240~1,583만원, 84㎡ 964~1,148만원, 106㎡ 1,256~1,752만원, 120㎡ 1,249만원

_ 2025년 2월 4일 1순위 청약.. 2025년 11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3년

_ 서울과 서초구와 방배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4,078만원, 8,076만원, 5,627만원

 

   •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6가 331-1 일대에서 도시형생활주택 '디마크 당산' 분양 예정 (시행사는 하나자산신탁(위탁사는 다옥), 시공사는 롯데건설) / ※ 오피스텔 및 상가는 분양 완료.. 도시형생활주택만 일부 미분양중

_ 부지 803평, 연면적 8,199평, 지하7층~지상25층, 2개동, 전용면적 37·40·46㎡, 총 152가구.. 주차 182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37.33㎡(11.29평) 7억7,100만원, 40.35~40.53㎡(12.21~12.26평) 8억2,500만원~8억3,800만원, 46.39~46.44㎡(14.03~14.05평) 8억7,700만원~9억3,600만원.. 계약금 10% + 중도금 50%(무이자) + 잔금 40%

_ 2025년 2월 3~4일 청약.. 청약 신청금은 100만원.. 2025년 9월 입주 예정

 

   •  인천 미추홀구 용현동 627-80 일대에서 주상복합 ‘용현 우방아이유쉘 센트럴마린(새한아파트 재건축 분)’ 분양 예정 (시행사는 대한토지신탁, 시공사는 SM스틸·SM경남기업)

_ 지하3층~지상41층, 2개동, 공동주택 252가구(일반분양 196가구) + 오피스텔 76실

 

   •  포스코이앤씨·한화는 경기 고양시 덕양구 주교동 559-1 일대에서 '고양 더샵 포레나 원와이든' 분양 예정.. 총 2,601가구(일반분양 636가구)

 

   •  서희건설은 경기 남양주시 오남읍 양지리 186-10 일대에서 '오남역 서희스타힐스 여의재 3차' 분양 예정.. 총 1,308가구(일반분양 365가구)

 

   •  경기 부천시 원미구 심곡동 803 일대에서 '부천 중앙하이츠 심곡 102동' 분양 예정 (시행사는 신흥연립 가로주택정비사업조합, 시공사는 배경산업개발)

_ 지하1층~지상15층, 1개동, 전용면적 58·61·69·76㎡, 총 84가구(일반분양 40가구(일반공급 25가구 + 특별공급 15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8㎡(공급면적 23평) 4억9,480만원, 61㎡(25평) 5억1,157만원, 69㎡(27평) 5억5,043만원, 76㎡(31평) 6억4,575만원.. 평당 분양가는 2,082~2,131만원.. 계약금 10% + 잔금 90%

_ 발코니 확장비는 58·61㎡ 1,000만원, 69㎡ 1,200만원, 76㎡ 1,400만원

_ 2025년 2월 3일 1순위 청약.. 2025년 3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1년

_ 경기와 부천시와 원미구와 심곡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770만원, 1,832만원, 1,953만원, 1,292만원

 

   •  경기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 784-8 일대에서 '양주 용암 영무 예다음 더퍼스트' 분양 예정 (시행사는 양주용암3지구지역주택조합, 시공사는 영무토건)

_ 용적률 231.58%, 건폐율 17.35%, 지하2층~지상27층, 7개동, 전용면적 59·75·84㎡, 총 644가구(일반분양 285가구(일반공급 153가구 + 특별공급 132가구)).. 주차는 823대(가구당 1.28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5평) 3억7,980만원~3억8,240만원, 75㎡(30평) 4억6,070만원, 84㎡(34평) 5억1,920만원~5억1,980만원.. 평당 분양가는 1,533~1,548만원.. 계약금 5%(1차분 5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 + 잔금 35%

_ 발코니 확장비는 59㎡ 970~980만원, 75㎡ 1,190만원, 84㎡ 1,340만원

_ 2025년 2월 3일 1순위 청약.. 2027년 11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6개월

_ 경기와 양주시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770만원, 997만원

 

   •  현대건설은 경기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 산100-30 일대에서 '힐스테이트 용인 마크밸리' 분양 예정.. 총 828가구

 

   •  현대건설은 경기 의정부시 호원동 281-21 일대에서 '힐스테이트 회룡역 파크뷰' 분양 예정.. 총 1,816가구(일반분양 674가구)

 

   •  울산 울주군 온양읍 발리 440-1 일대에서 '남울산 노르웨이숲' 분양 예정 (시행사는 울산온양발리스타지역주택조합, 시공사는 유림E&C)

_ 지하2층~지상26층, 12개동, 전용면적 59·74·84㎡, 총 848가구(일반분양 332가구(일반공급 137가구 + 특별공급 195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5평) 3억3,700만원~3억4,100만원, 74㎡(30·31평) 4억1,100만원~4억1,800만원, 84㎡(34평) 4억7,500만원~4억8,900만원.. 평당 분양가는 1,346~1,430만원.. 계약금 5%(1차분 5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이자 후불제) + 잔금 35%

_ 발코니 확장비는 59㎡ 1,200만원, 74㎡ 1,400만원, 84㎡ 1,500만원

_ 2025년 2월 4일 1순위 청약.. 2026년 7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6개월

_ 울산과 울주군과 온양읍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982만원, 798만원, 708만원

 

   •  광주 광산구 하산동 269 일대에서 ‘한양립스 에듀포레’ 분양 예정 (시행사는 송정리버파크지역주택조합, 시공사는 한양건설)

_ 부지 7,824평, 연면적 25,784평, 지하2층~지상25층, 10개동, 전용면적 84·89㎡, 총 470가구(일반분양 118가구(일반공급 97가구 + 특별공급 21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3·34평) 5억5,800만원~5억6,200만원, 89㎡(35평) 5억8,500만원~5억8,700만원.. 평당 분양가는 1,667~1,680만원.. 계약금 5% + 중도금 60% + 잔금 35%

_ 발코니 확장비는 84·89㎡ 1,500만원

_ 2025년 2월 4일 1순위 청약.. 2027년 11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6개월

_ 광주와 광산구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911만원, 906만원, 807만원

 

 

 

■  제도ㆍ정책

 

   •  국가유산청은 최대 반경 500m까지 설정된 역사문화환경 내 보존지역 크기를 주거·상업·공업지역은 200m로, 녹지지역은 500m로 조정

 

   •  국토교통부는 도시형생활주택을 전용면적 85㎡ 이하, 5층 이상의 300가구 미만으로 건축면적 완화.. 다만 주차대수는 일반 공동주택과 동일하게 1대 이상 설치 필요  @주택법 시행령 개정안

 

   •  국토교통부는 그린벨트 내 파크골프장 설립을 허용 (※ 현재 잔디축구장, 배구장, 테니스장, 게이트볼장 등은 허용중)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아파트, 연립주택 등 공동주택을 신축할 때 '고령친화주택'을 일정비율 이상 포함하면 용적률을 상향해주고, 또한 도심에 '고령자용 민간임대주택'을 신축하면 용적률 상한을 20% 상향 방침

 

   •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부동산신탁사의 사업 내실화를 위해, 책임준공확약 관리형 토지신탁 관련 건전성 기준을 대폭 상향 방침

 

   •  인사혁신처는 9급 공무원의 월평균 보수(봉급과 수당을 합쳐 현재 269만원 수준)를 2026년까지 284만원, 2027년까지 300만원선으로 인상하고, 무주택 공무원에게는 2030년까지 5,800여가구의 임대주택을 우선 공급하고, 승진 소요 기간도 단축 방침

 

   •  서울시청은 서울 마포구 상암동 '평화의 공원'에 신축할 고리형 대관람차(높이 180m, 세계 2위 높이) '서울링'을 운영할 사업자를 2025년내에 선정하고, 2026년 착공 계획

 

 

 

■  건설 및 부동산 업계 정보

 

   •  KB부동산신탁은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129에 소재한 사옥(지하7층~지상24층, 연면적 15,466평)을 2025년 상반기 내 매각을 마무리하고, 계열사 KB라이프생명보험이 보유한 양재 KB라이프타워로 이전 예정

_ 사옥의 추정 매각가는 약 7,000억원(평당 4,500만원)선

 

   •  서울 양천구 신월동과 인천 서구 청라동을 연결하는 경인고속도로내 15.3km 구간을 지하화(지하 30m) 사업 추진.. 총 사업비 1조3,780억원, 2032년 개통 예정

 

   •  서울시립미술관(SeMA)은 국내 최초의 사진전문 공공미술관 '서울시립 사진미술관(지하2층~지상4층, 연면적 2,132평)'을 서울 도봉구 창동 1-7 일대(창동역 인근)에서 2025년05월29일 개관 예정

 

   •  양주역세권개발PFV는 경기 양주시 남방동 일대 195,253평 부지에서 '양주역세권 개발사업' 추진중

_ PFV 지분 : 양주시청 40%, 대우건설·테라앤·제일건설·중흥토건 등 60%

_ 주거·상업·업무·복합·지원시설·공원 등 조성.. 공동주택은 3,782가구(민간임대 1,150가구 포함)

_ GTX C노선 정차 및 지하철 7호선 연장 추진

 

   •  BS한양은 경기 평택시 장안동 18-20 일대(브레인시티)에서 분양중인 '평택 브레인시티 수자인' 모델하우스에서, 방문고객을 위한 설맞이 고객 이벤트 진행

_ 선착순으로 떡국떡, 한과, 평택 고시히카리 쌀 제공.. 윷놀이와 제기차기 등 민속놀이를 진행하며 신세계상품권 및 평택사랑상품권 등 지급.. 한복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존 마련

 

   •  2025년도 수도권 공공주택 공급 계획 @국토교통부

_ 고양 창릉 1,790가구, 과천 주암 1,620가구, 구리 갈매역세권 1,740가구, 남양주 왕숙 3,070가구, 남양주 진접2 2,080가구, 부천 대장 1,960가구, 하남 교산 1,120가구, 화성 동탄2 3,300가구

   •  강원 영원군 영월읍과 삼척시 등봉동을 연결하는 '영월~삼척고속도로(70.3km)' 신설 사업 추진.. 총 사업비 5조6,167억원

 

   •  주요 건설사별 2025년 분양 계획

_ 부동산R114 : 현대건설 12,779가구, 대우건설 11,845가구, 포스코이앤씨 9,415가구, 현대엔지니어링 9,186가구, DL이앤씨 7,774가구, 롯데건설 7,248가구, GS건설 4,800가구, 계룡건설산업 4,164가구, 중흥토건 3,753가구, 금호건설 3,412가구, SK에코플랜트 2,871가구, 동부건설 2,525가구, 한화건설 1,788가구, HDC현대산업개발 1,722가구, 삼성물산 1,097가구, 코오롱글로벌 998가구..

_ 비즈워치(오피스텔 및 생활숙박시설 포함, 괄호안은 일반분양분) : 현대건설 16,123가구(8,984가구), 포스코이앤씨 15,558가구(10,789가구), 대우건설 15,000가구(11,389가구), HDC산업개발 13,000가구, 롯데건설 12,000가구, DL이앤씨 11,150가구(4,889가구), GS건설 7,590가구, 현대엔지니어링 7,109가구(5,518가구), 삼성물산 3,188가구(987가구), SK에코플랜트 3,097가구(1,216가구)

 

   •  종합건설사 폐업신고는 2021년 305건, 2022년 362건, 2023년 581건, 2024년 641건.. 관련 조사가 시작된 2005년 이후 최대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  국가산업단지(34개소)에서 휴·폐업한 기업체 추이

_ 2020년 481개사, 2022년 672개사, 2022년 625개사, 2023년 625개사, 2023년 781개사, 2024년 732개사..

 

   •  저축은행중앙회는 2025년내에 저축은행의 NPL만 전문적으로 정리하는 법인 설립 방침.. (가칭)새마을금고자산관리공사?

 

   •  연령별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 (2024년 기준)  @한국부동산원

_ 30대 26.62%(서울 31.90%), 40대 26.23%(서울 31.91%), 50대 21.43%, 60대 이상 20.47%(서울 14.55%), 20대 3.60%

 

   •  주요 고급 아파트 천장고

_ 청담PH129 7m, 에테르노 청담 4m, 아크로 서울포레스트 2.9m, 나인원 한남 2.8m,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2.6m, 브라이튼 여의도 2.6m,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 2.5m, 아크로리버뷰 신반포 2.4m..

 

 

 

■  국내외 이슈

 

   •  경제지표(2025년01월31일 기준)

_ 환율(매매기준율) : USD 1,458원, EUR 1,511원, CNY 199원, JPY(100엔) 939원

_ 증시 : KOSPI 2,517, KOSPI200 333, KOSDAQ 728

DOW 44,544, NASDAQ 19,627, 중국상해 3,250, NIKKEI 39,572

   ※ 일본은행 기준금리는 2007년02월 0.5%, 2008년10월 0.3%(리먼 브라더스 사태 직후), 2016년01월 -0.1%, 2024년03월 0.1%, 2024년07월0.25%, 2025년01월 0.5%(17년만에 최고치) / 미국은 4.25~4.5% (2025년01월29일 동결)

   ※ 미국 경제성장률 : 2022년 2.5%, 2023년 2.9%, 2024년 2.8%  @미 경제분석국(BEA)

   ※ 독일 경제성장률 : 2022년 1.8%, 2023년 –0.2%, 2024년 –0.2%  @독일 연방통계청

   ※ 프랑스 경제성장률 : 2022년 2.5%, 2023년 0.7%, 2024년 –0.1%  @프랑스 국립통계경제연구소

   ※ 유로존(20개국) 경제성장률 : 2022년 3.5%, 2023년 0.4%, 2024년 0.7%  @유로스타트

 

   •  2023년 귀속 사업소득신고자(총 7,721,416명) 중 상위 0.1%의 연소득 평균은 15억6,322만원(서울은 25억3,611만원), 상위 20%는 6,958만원, 하위 20%는 696,000원.. 평균소득은 1,859만원, 중위소득은 637만원..  @국세청

 

   •  연령별 월평균 수입 및 지출 (2022년 1분기 기준)  @통계청

_ 30대 474만원/336만원, 40대 625만원/466만원, 50대 587만원/431만원

 

   •  근로소득상승률 대비 물가상승률 추이  @한국은행

_ 근로소득상승률 : 2020년 2.3%, 2021년 5.1%, 2022년 4.7%, 2023년 2.8%

_ 물가상승률 : 2020년 0.5%, 2021년 2.5%, 2022년 5.1%, 2023년 3.6%

 

   •  코스피 및 코스닥 퇴출 기준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_ 시총(코스피) : 2026년 200억원, 2027년 300억원, 2028년 500억원, 2029년 500억원

_ 시총(코스닥) : 2026년 150억원, 2027년 200억원, 2028년 300억원, 2029년 300억원

_ 매출(코스피) : 2026년 50억원, 2027년 100억원, 2028년 200억원, 2029년 300억원

_ 매출(코스닥) : 2026년 30억원, 2027년 50억원, 2028년 75억원, 2029년 100억원

 

   •  전국의 방치된 폐교수는 2022년 351개소, 2023년 358개소, 2024년 367개소  @교육부

 

   •  관광업 관련  @한국관광공사, 일본 관광청

_ 관광객수(일본→한국) : 2014년 1,391만명, 2019년 1,731만명, 2024년 1,633만명

_ 관광객수(한국→일본) : 2014년 1,341만명, 2019년 3,188만명, 2024년 3,687만명

   ※ 관광수지 : 2021년 -43억달러, 2022년 -57억달러, 2023년 -99억달러, 2024년11월 -102억달러

 

   •  2025년 설 연휴기간 국내 국제공항(인천·김포·김해·청주·대구·제주)에서 134만명이 출국.. 작년 대비 13.8% 증가

 

   •  국민연금의 기금운용 수익률은 12.57% (2024년 기준)

_ 해외 주식 29.72%, 해외 채권 12.03%, 대체투자 9.32%, 국내 채권 5.96%, 국내 주식 -4.94%..

 

   •  2023년에 발간된 도서 평균 가격은 18,633원으로, 전년 17,869원 대비 4.3% 상승.. 도서 구입에 대한 부담감으로 중고서적 수요 증가중  @대한출판문화협회

 

   •  한화그룹은 2025년02월11일에 아워홈(급식업계 2위 기업) 구본성 前부회장과 구미현 회장이 보유한 지분 58.6%를 인수 예정

 

   •  갤러리아백화점의 VIP 매출 비중은 2020년 42%, 2021년 45%, 2022년 48%, 2023년 50%, 2024년 51%..  (☞ 소비 양극화 근거)

 

   •  스타벅스 매장수는 미국 17,049개소, 중국 7,685개소, 한국 2,009개소, 일본 1,991개소 順.. 스타벅스코리아(이마트가 지분 67.5% 보유)의 2024년 매출액은 3조원 돌파 유력

 

   •  막걸리 소매점 매출 추이  @aT

_ 2020년 6,096억원, 2021년 5,832억원, 2022년 6,045억원, 2023년 5,754억원..

 

   •  해창주조(해창막걸리로 유명한)는 신세계백화점을 통해 5,050만원대 프리미엄 소주 세트 출시.. 2,050만원으로 책정된 82도 해창대장경(750㎖) 1병과 3,000만원의 순금 50돈 금잔으로 구성

_ 25도 증류주는 55,000원(375㎖), 45도 증류주는 105,000원(375㎖)

 

   •  국내 주요 로펌 2024년 매출 (괄호안은 전년 대비 증가율)  @국세청

_ 광장 4,111억원(10.4%), 태평양 3,918억원(5.5%), 율촌 3,709억원(12.9%), 세종 3,698억원(15.7%), 화우 2,500억원(20.1%).. ※ 김앤장은 1.6조원 추정

 

   •  주요 20개 골프웨어 브랜드 매출 추이

_ 2022년 1조3,836억원, 2023년 1조3,123억원, 2024년 1조2,435억원 (※ 2년전 대비 10.1% 감소)

 

   •  국내 운동화 시장 규모 추이  @유로모니터

_ 2021년 2조7,761억원, 2022년 3조1,289억원, 2023년 3조4,150억원, 2024년 4조원(이중 1조원은 러닝화) 추산

 

   •  무신사는 무신사 입점 브랜드의 추천 기술 고도화를 위해 몰로코(AI 기반의 글로벌 머신러닝기업)와 전략적 업무 협약 체결 (※ 무신사 회원수는 1,500만명, 입점 브랜드수는 8,000여개)

 

   •  당근은 중고거래 이외에도 부동산·중고차 직거래, 구인·구직 서비스, 지역 모임, 금융 서비스, 병의원 예약 등으로 서비스 확대중.. 현재 회원수는 4,200만명 수준

 

   •  부산은행은 서울에 개설한 2개의 지점을 현금이 전혀 없는 '캐시리스(Cashless) 점포'로 운영 예정

 

   •  CGV는 4면이 스크린인 스크린X관을 세계 최초로 운용

_ CGV용산아이파크몰.. 총 200석.. 전좌서에 리클라이너 좌석 설치.. 돌비 애트모스 도입

 

   •  최근 시중은행 희망퇴직 현황

_ 퇴직자 규모 : 국민은행 647명, 신한은행 541명, 우리은행 420명, 농협은행 391명, 하나은행 316명 (※ 평균 퇴직금은 4~5억원선)

 

   •  '오징어게임 시즌 3(마지막 편)'이 2025년06월27일 공개 예정

 

   •  BNK금융그룹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16.7억원 전달

 

   •  미국 10대 무역 적자국 (2024년 상반기 기준)  @미국 상무부

_ 중국 1,277억 달러, 멕시코 827억 달러, 베트남 566억 달러, 독일 423억 달러, 아일랜드 382억 달러, 한국 341억 달러, 일본 340억 달러, 대만 299억 달러, 캐나다 292억 달러, 인도 237억 달러

 

   •  네팔 정부는 에베레스트 입장료를 10년 만에 기존 1,580만원에서 2,200만원으로 인상 (※ 2023년 기준 방문객 수는 57,690명)

_ 인상 요인은 쓰레기 오염 때문으로, 지난 2014년부터 등반객당 8kg의 쓰레기를 의무적으로 가져오게 하는 등의 각종 보호 조치를 시행했으나, 오염이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

 

 

 

목록